
국제 곡물 가격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국내 식료품값은 여전히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4일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지난해 12월 119.1에서 올해 1월 118.0으로 1.1p 떨어졌다.
앞서 이 지수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직후인 2022년 3월 역대 최고치인 159.7을 찍은 뒤 하락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지수를 구성하는 5개 품목(곡물·유지류·육류·유제품·설탕) 가운데 곡물과 유지류 가격이 크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곡물과 유지류 가격지수는 2022년 고점 대비 각각 25%, 30% 내려 글로벌 식료품 원가 하락을 이끌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곡물가격지수도 2022년 중순 730선을 훌쩍 웃돌았다가 현재는 절반 수준인 390선으로 떨어졌다.
개별 품목별로는 곡물가 하락세가 더 뚜렷하다.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BOT) 선물 시장에서 밀의 1부셸(27.2㎏)당 가격은 2월 평균 5.84달러로, 2022년 5월 11.46달러의 절반 수준이다. 같은 기간 옥수수 가격도 부셸당 7.84달러에서 4.27달러로 45.5% 떨어졌다.
이처럼 식료품의 주요 원재료 가격이 내려가고 있지만 국내 소비자들의 장바구니물가는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곰표 밀가루 중력다목적용(이하 100g)은 지난달 198원으로 2022년 5월의 154원보다 44원 올랐다. 백설 소면은 353원에서 379원으로 26원 올랐다.
오뚜기 콩기름(이하 100ml)은 552원에서 673원, 해표의 맑고 신선한 식용유도 493원에서 556원으로 비교적 큰 폭으로 올랐다. 이들 제품의 원재료값이 50% 가까이 내렸지만 제품 가격은 내려갈 기미 없이 기존의 인상폭을 유지한 셈이다.
더불어 식품업체들의 영업이익이 급증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풀무원의 지난해 연간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35.4% 증가한 619억 원을 기록했다. 오뚜기와 농심의 영업이익도 각각 37.3%·89.1% 증가하여 이익을 크게 늘렸다.
수출 실적 등 다른 요인도 변수로 작용하는데다 국제 곡물가격만으로 원가를 평가하기는 어렵지만 상대적으로 낮아진 원재료값 부담이 수익 증대의 기반이 됐다는 분석이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