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가 만드는 스마트폰 갤럭시와 메모리 반도체가 트럼프발 관세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생겼다.
미국 관세국경보호국(CBP)은 12일(현지시간)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를 통해 스마트폰·노트북·하드디스크 드라이브·메모리 칩·반도체 제조 장비 등을 상호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발표했다.
반도체와 스마트폰 등이 관세 부과 대상에서 빠짐으로써 애플과 엔비디아·델 등 미국 빅테크 기업이 수혜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애플과 엔비디아 등은 관세 부과 발표 뒤 주가가 급락했었다. 이유야 어찌 되었든 반도체와 스마트폰이 관세 대상에서 제외돼 삼성전자와 하이닉스도 한숨을 돌렸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스마트폰과 컴퓨터 부품 등을 상호 관세 품목에서 제외한다고 밝혔다. 미국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빅테크 기업들의 타격이 큰 만큼 트럼프 행정부 또한 속도 조절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 언론들은 이번 조치를 통해 애플·엔비디아·델·삼성전자·TSMC 등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미국 빅테크 기업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부과 발표 이후 주가가 급락한 대표적인 기업들이다.
상호 관세 유예 발표 이후 반등하는 듯했던 빅테크 기업들의 주가는 관세 유예 하루 뒤인 10일 다시 급락했다. 메타 주가가 6.74% 떨어졌으며 엔비디아와 아마존 주가가 각각 5.91%와 5.17% 떨어졌고 애플 또한 4.24% 하락했다. 빅테크 기업들이 미국 전체 시가총액 순위 상위권에 위치한 상황에서 빅테크 기업들이 일제히 하락한다면 비국 전체 시장에도 미치는 영향이 크다.
트럼프 행정부는 기존에 발표했던 상호 관세를 90일 유예하며 모든 국가에 10%의 상호 관세를 부여하고 있으나 중국에는 125%를 부과하고 있다. 여기에 중국에 별도로 20%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중국산 물품에 145%의 관세가 부과된다.
애플을 비롯한 빅테크 기업들은 미국 기업이지만 중국 공장을 통해 생산하는 물량이 많은 만큼 중국에 관세를 부여하면 부담이 늘어나고 상품 가격에 따른 소비자 부담 우려된다. 대표적으로 애플 아이폰의 가격이 400만 원에서 최대 500만 원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며 상호 관세의 부작용이 부각되고 있다.
여기에 JP모건에 따르면 상호 관세 부과로 올해 미국 성장률 전망치가 기존 1.3%에서 -0.3%로 떨어지고 실업자가 200만 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영국 바클레이스 역시 올해 미국 경제 성장률을 -0.1%로 예상했다.
JP 모건의 경우 올해 미국을 포함한 세계 경기 침체 가능성이 60%로 올랐다며 상호 관세에 따른 파장을 경고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미국 정부 또한 관세 정책을 수정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그러나 미국 정부가 이번에 상호 관세에서 제외된 품목들에 대해 별도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온다. 트럼프 행정부가 취임 이후 예측 불가능한 행보를 계속해 온 만큼 빅테크 기업들의 불확실성이 게속될 전망이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9일 “미국은 반도체나 스마트폰·노트북 등과 같은 핵심 기술을 생산하는데 중국에 의존할 수 없다”며 “자동차·철강·의약품·반도체 등은 특정한 관세에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기존에 상호 관세 품목에서 제외됐던 반도체 또한 미국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조사가 진행 중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품목별 관세를 14일 밝히겠다는 입장이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