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이달부터 다음 달까지 농축수산물 할인지원에 600억 원을 투입한다. 이를 통해 1991년 9월 이후 가장 많이 치솟은 사과·배 등 과일 체감가격을 40~50% 인하하겠다는 계획이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물가관계장관 회의’에서 2월 소비자물가 동향 및 대응방안과 슈링크플레이션 대책 진행상황 등을 점검했다.
이날 통계청에 따르면 2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1% 상승하며 1월 2.8%에서 한 달 만에 다시 3%대로 올라섰다. 상승폭도 지난해 10월 이후 4개월 만에 다시 확대됐다.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3.7% 상승했고 신선식품지수는 20.0% 올랐다. 농산물이 20.9% 치솟은 탓이다. 특히 사과(71.0%)·귤(78.1%)·배(61.1%) 등이 급등하면서 과실 물가가 41.2% 치솟았다. 이는 1991년 9월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최 부총리는 “가격 강세가 지속되고 있는 농축수산물에 대해 정부 역량을 집중하겠다”며 “3~4월 농축수산물 할인지원에 역대 최대 수준인600억 원을 투입해 사과·배 등 주요 먹거리체감 가격을 최대 40~50% 인하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서 오렌지·바나나 등 주요 과일을 직수입해 저렴한 가격으로 시중에 공급하고 수입과일 3종에 대해 추가 관세 인하를 적용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정부는 이날부터 비상수급안정대책반을 즉시 가동, 품목별 동향을 일일 모니터링하는 등 가격·수급관리 노력을 배가할 방침이다.
또 석유류·서비스 등 불안 품목에 대해서는 각 부처가 현장점검 등을 통해 물가안정 분위기를 확산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석유류 불법·편승 인상이 없도록 범부처 석유시장점검단이 매주 전국 주유소를 방문해 가격을 점검하고 있다. 학원비는 지자체별 교습비 조정기준을 위반할 경우 과태료 부과 등 엄정 조치를 할 계획이다.
물가 안정을 위한 식품업계의 동참도 요청했다. 그는 “최근 국제곡물가격이 2022년 고점 대비 절반 가량 하락했으나 밀가루·식용류 등 식품가격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아 고물가를 유발한다는 지적이 있다”며 “원료 가격 상승을 이유로 가격을 인상했다면, 하락 시에는 제때, 그리고 하락분만큼 제대로 내려야국민들께서 납득할 수 있는 합리적인 경영활동”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원자재 가격 급등기에 지원했던 주요 식품원료 관세 인하 조치를원자재 가격이 하락한 금년에도 추가 연장하기로 한 만큼업계도 국민 부담 완화에 적극 동참해 주시기를 요청드린다”고 당부했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