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명보호 국가대표 축구팀이 2026북중미월드컵 본선행 조기진출을 노리다 3경기 연속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다.
한국팀은 26일 현재 북중미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B조에서 선두(승점16)에 있다.
지난해 마지막 경기였던 팔레스타인과의 원정 경기부터 전날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치른 요르단전까지 3경기 연속 무승부에 그치며 멀리 앞서가지 못한 한국팀은 2위 요르단(승점 13)에 3점 차, 3위 이라크(승점 12)에 4점 차로 앞서 있다.
만약 이날 오전 이라크가 약체 팔레스타인에 패하는 이변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이라크에 1점 차로 쫓기고 있었을 수도 있다.
3월 홈 2연전에서 연승을 거둬 조기에 북중미행을 확정하겠다는 목표는 멀어졌다.
이웃 일본이 C조에서 6승 2무 무패, 24득점, 2실점의 압도적인 경기력을 바탕으로 ‘세계 최초’로 본선행 티켓을 확정한 것과 뚜렷한 대조를 이루는 터라 팬들의 아쉬움은 더 크다.
홍명보호의 지난 3경기를 돌아보면, 승부를 걸어야 하는 시점에 효과적으로 득점 기회를 만들어 나가지 못한 공격진의 문제점이 두드러진다.
한국은 팔레스타인과 6차전, 20일 치른 오만과 7차전, 전날 요르단과 8차전에서 모두 1-1로 비겼다.
특히, 이달 두 경기에선 전반에 선제골을 넣으며 우세하게 경기를 끌고 갔지만 추가골을 넣지 못하다가 동점골을 허용하는 플레이를 계속했다.
두 경기 모두 선제골을 넣은 뒤 한국의 공격 작업을 보면 세트피스를 제외하고 필드 플레이 과정에서 득점에 가까운 장면을 많이 만들어내지 못했다.
이런 흐름의 선수들의 안일함 때문이건 홍명보호 코치진의 공격 작엄의 세부 전술이 충분히 다듬어지지 않아서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마지막 9차, 10차전이 치러지는 6월에도 본선행 확정은 어려워질 수 있다.
끈끈한 플레이를 펼치는 중동 팀을 상대로 ‘너무 착한 수비’로 일관한 점도 지적되고 있다.
오만전과 요르단전 실점 장면은 모두 상대 공격수의 드리블 돌파를 제대로 차단하지 못한 데서 비롯됐다.
오만전에서는 후반 교체 투입된 라비아 알라위가 한국 진영에서 활개치도록 둔 게 결국 알리 알부사이디의 중거리골로 연결됐다.
요르단전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센터라인 부근에서 박용우(알아인)로부터 공을 빼앗은 야잔 알나이마트가 한국 위험 지역까지 전진하는 과정에서 3명의 한국 선수가 달라붙었으나 막지 못했고, 이것이 결국 마흐무드 알마르디에게 동점골을 허용하는 것으로 이어졌다.
경기의 흐름이 상대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갈 수 있는 변곡점에선 때에 따라 예로 카드 한 장을 감수하고라도 ‘터프한’ 파울로 확실하게 상대 플레이를 끊어줄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한국 수비진은 이런 결단력을 보이지 못했다. 이미 본선행 조기 확정은 물 건너갔다.
홍명보호에게 남은 카드는 6월 두 경기에서 지난해처럼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면서 시원한 2연승을 거두는 것이다. 그러면 냉각된 팬심도 되돌릴 수 있는 길이 열린다.
이번 2연전을 소화하면서 홍명보호는 김민재(뮌헨)·황인범(페예노르트)·이강인(파리 생제르맹)·백승호(버밍엄시티) 등 주요 선수가 줄부상을 당해 전열 구성에 고전했다.
[스카이데일리·연합뉴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