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교통·환경
‘149시간 만에 진화’된 괴물 산불… 여의도 156배 잿더미
22일 오전 11시25분 경 의성군 안평면·안계면 2곳 야산에서 시작
이재민 대책·산림 및 문화재 복구 등 앞으로의 과제 만만치 않아
맹세희 기자 기자페이지 + 입력 2025-03-28 17:23:39
▲ 잿더미로 변한 산림. 연합뉴스
  
태풍급 속도로 경북 북동부권 5개 시·군으로 확산하며, 역대 최대 규모의 피해를 낳은 산불이 발화 149시간 만에 꺼졌다.
 
이번 불로 축구장 63245, 여의도 면적의 156배 국토가 잿더미로 변했다.
 
각 지자체 등에 따르면 28일 오후 영덕·영양을 시작으로 피해 5개 시군의 산불 주불이 잇따라 진화됐다.
 
22일 오전 1125분 경 의성군 안평면·안계면 2곳 야산에서 시작된 산불은 이후 초속 10가 넘는 강풍을 타고 북동부권 4개 시·군으로 번졌다.
 
특히 강풍·고온·건조 등 진화에 악조건인 기상 상황이 이어진 탓에 산불은 바싹 마른 나무와 낙엽 등을 따라 급속도로 이동했고, 안동·청송·영양뿐만 아니라 최초 발화지에서 80떨어진 동해안 영덕까지 피해 범위에 들었다.
 
'괴물 산불'은 한때 초속 27m의 강풍을 타고 역대 최고치인 시간당 8.2속도로 이동했다.
 
산불 발생 후 산불 대응 3단계를 발령한 산림 당국은 매일 진화 헬기와 인력, 장비 등을 대거 동원해 주불 진화, 국가주요시설·민가·문화유산 주변 방화선 구축 등에 전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강풍과 극도로 건조한 날씨 등이 맞물려 형성된 불리한 진화 여건 속에 현장 진화대원 피로 누적, 진화 헬기 추락 사고까지 발생해 진화 작업은 더디게 이뤄졌다.
 
이런 이유로 산불 확산 경로를 따라 인명·재산 피해가 속출했고, 세계문화유산인 안동 하회마을과 병산서원 23앞까지 불길이 근접하는 긴급비상 상황도 연출됐다.
 
천만다행으로 전날 오후부터 의성·안동·청송·영양·영덕 5개 시·군에 13가량 비가 내리면서 상황은 1주일 만에 극적반전을 이뤘다.
 
양은 적었지만 밤새 내린 비로 산불 확산 속도가 둔화하고, 진화 헬기 운용에 장애였던 연무도 잦아드는 등 기상 환경이 좋아진 까닭에 진화 작업이 급격히 빨라졌다.
 
▲ 공군이 22일부터 산청·의성·울주·김해 등 4개 지역에 헬기와 병력을 투입해 산불 진화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고 27일 밝혔다. 공군 HH-32 헬기가 경북 의성군 화재지역에 물을 뿌리고 있다. 공군=연합뉴스
  
전날 오후 5시 기준 63에 머물렀던 진화율은 이날 낮 12시 기준 94까지 솟구쳤다.
 
1주일째 이어진 이번 경북 산불의 영향구역은 이날 오전까지 45157로 집계돼 역대 최대 산불 피해로 기록됐다.
 
향후 조사 결과에 따라 산불 피해 범위는 더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또 지금까지 안동·영덕 등에서 주민 등 24명이 사망했고, 주택 등 시설 2412곳이 불에 타는 피해를 봤다.
 
이날 오전 기준으로 실내체육관 등으로 대피한 의성·안동 등지 주민은 6322명으로 집계됐다.
 
산불은 진화됐지만 이재민 대책, 산림 및 문화재 복구 등 앞으로의 과제가 만만치 않다.
 
또 발화 원인에 대한 많은 의혹도 여전히 미스터리다.
 
후원하기
  • 정기 후원
  • 일반 후원
  • 무통장입금: 하나은행 158-910019-39504 스카이데일리
  • 시대의 금기를 깨는 정론지 스카이데일리는
    여러분의 후원으로 만들어집니다.

    매월 5만 원 이상 정기 후원 독자께는
    스카이데일리 신문과
    스카이데일리가 발행하는 단행본을
    드립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추천해요
3
좋아요
0
감동이에요
0
화나요
3
슬퍼요
1
오늘자 스카이데일리
주요 섹션 기사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541 세신빌딩 9층 | 전화 : 02-522-6595~6 | 팩스 : 02-522-6597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시 아01703, 등록일 : 2011년 7월 18일, 발행·편집인: 조정진, 편집국장: 박용준
사업자 번호 : 214-88-81099 후원계좌 : 158-910019-39504(하나은행)
copyrightⓒ2011, All rights reserved. Contact : skyedaily@skyedaily.com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선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