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사회·노동
박충권 의원, 통일한국 토지정책 학술세미나 개최
‘농민 개혁’ 남한과 ‘토지 개혁’ 북한 비교·분석
통일비용·사회적 혼란 최소화 등 문제 고려해야
가치보상원칙·형평성 해소를 우선하도록 방향 제시
이태욱 기자 기자페이지 + 입력 2025-03-28 17:23:19
 
▲ 28일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박충권 국민의힘 의원과 건국정신과미래학회가 공동주최한 ‘남북한의 토지개혁과 통일한국의 토지정책’ 학술세미나가 열렸다. 박충권 의원실
  
28일 오후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탈북인인 박충권 국민의힘 의원과 건국정신과미래학회가 공동주최한 ‘남북한의 토지개혁과 통일한국의 토지정책’ 학술세미나가 열렸다.
 
이승만 대통령 탄신 150돌을 기념하며 열린 이 세미나는 남북한의 토지개혁 역사와 각 제도의 정책 성과를 비교 분석하고 통일 이후 현실적인 토지정책 수립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개최됐으며 경제·헌법·교육·환경·탈북인 등 각계 전문가 모여 방향성을 수립했다.
 
박충권 의원은 개회사에서 “남북의 토지개혁 역사는 단순한 제도척 차이를 넘어 미래 통일한국의 토지정책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사적 토대”라며 “이번 세미나에서 도출된 다양한 의견과 정책적 제언이 통일한국의 균형잡힌 발전과 국민의 공감대를 사는 정책 설계로 이어지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28일 오후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박충권 국민의힘 의원과 건국정신과미래학회가 공동주최한 ‘남북한의 토지개혁과 통일한국의 토지정책’ 학술세미나에서 박충권(위) 의원과 주호영 국회부의장이 개회사와 축사를 하고 있다. 박충권 의원실
 
이날 세미나는 1부 ‘주제 발표 및 토론’과 2부 ‘종합토론’으로 진행됐다. 김종석 전 의원이 좌장을 맡은 1부에서 첫 발제를 맡은 김승욱 중앙대 경제학과 명예교수는 ‘남북한의 토지개혁 비교 및 이승만정부 농지개혁의 역사적 의의’를 주제로 발표했다.
 
김 교수는 “북한은 무상몰수·무상분배 방식으로 국가주도의 집단 농장 체재를 구축한 ‘토지계획’이며 남한은 유상매수·유상분배 원칙에 따라 농민 중심 토지 소유 구조·시장경제·사유재산권을 바탕으로 발전한 ‘농지개혁’”이라고 비교했으며 이승만 대통령의 농지개혁은 △6·25 전쟁 당시 농민의 호응 △신분제 청산 △일제 청산 △부의 재분배에 긍정적 영향을 준 성공적인 개혁이었음을 말했다.
 
‘통일한국의 토지정책과 북한지역 몰수재산권의 처리’를 발표한 한명섭 변호사는 남북한의 이질적인 경제체제·법체계와 통합의 어려움을 설명했으며 남한의 지적제도에 따라 북한지역 토지 전체에 대한 공시제도를 새로 구축하고 법무부·기획재정부·국토부 등 유관 부처에서 공동으로 연구해야 가장 합리적인 방안을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후 주익종 이승만학당 상근이사와 장영수 고려대 헌법학 교수가 참여해 발제문에 관해 토론했으며, 이어진 2부 종합토론에서는 최원목 건국정신과미래학회 회장이 좌장을 맡은 가운데 최시우 북한인권단체 NAUH(나우) 사무총장·이영현 탈북인 1호 변호사·정다현 경기도 교육청 사무관·신상규 서울대 환경대학원 박사과정 수료생이 토론자로 나섰다.
 
최 사무총장은 몰수토지의 합리적 처리 방안 중 공공사업으로 인해 토지 등을 취득할 때 적정한 가격으로 보상해야한다는 ‘가치보상원칙’을 지지했으며 이 변호사는 고위층과 일반 주민 간의 극명한 차이가 드러나는 주거환경을 고려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정 사무관은 △북한주민이 원하는 통일이 될 수 있는가 △통일로 인한 사회적 혼란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가 △통일을 위기가 아닌 기회로 만들 수 있는가라는 세 가지 질문에 대한 방안을 설명했으며 신씨는 통일 후 북한지역 토지·주택 사유화를 할 때 △통일비용 최소화 △형평성 문제 해소 △점진적인 사유화를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 최원목 건국정신과미래학회 회장·주호영 국회부의장·정운찬 동반성장연구소 이사장이 개회사와 축사를 했다.
 
후원하기
  • 정기 후원
  • 일반 후원
  • 무통장입금: 하나은행 158-910019-39504 스카이데일리
  • 시대의 금기를 깨는 정론지 스카이데일리는
    여러분의 후원으로 만들어집니다.

    매월 5만 원 이상 정기 후원 독자께는
    스카이데일리 신문과
    스카이데일리가 발행하는 단행본을
    드립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추천해요
2
좋아요
3
감동이에요
0
화나요
0
슬퍼요
0
오늘자 스카이데일리
주요 섹션 기사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541 세신빌딩 9층 | 전화 : 02-522-6595~6 | 팩스 : 02-522-6597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시 아01703, 등록일 : 2011년 7월 18일, 발행·편집인: 민경두, 편집국장: 박용준
사업자 번호 : 214-88-81099 후원계좌 : 158-910019-39504(하나은행)
copyrightⓒ2011, All rights reserved. Contact : skyedaily@skyedaily.com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선옥